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재테크

1억으로 10억 집 사는 법, 지분형 모기지론 완전정복!

목차

  1. 지분형 모기지론이란?
  2. 왜 주목받고 있을까?
  3. 한국형 지분형 모기지 구조 (예상안)
  4. 장단점 분석
  5. 시뮬레이션 예시
  6. 자주 묻는 질문(FAQ)
  7. 마치며 (※ 도입 확정 여부 안내)

1. 지분형 모기지론이란?

지분형 모기지론주택 구매 시 정부나 공공기관이 집값의 일정 지분을 투자하고, 구매자는 나머지 지분에 대해서만 자금을 마련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집값을 정부와 함께 나눠 소유하는 방식이에요.

💡 현재 한국에서는?

한국 정부는 2024년부터 지분형 모기지론 도입을 논의 중이며, 구체적인 시행은 시범사업 형태로 추진될 예정입니다.
최종 구조와 조건은 2025년 중 발표될 로드맵을 통해 확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신문).


2. 왜 주목받고 있을까?

요즘 집값 폭등 + 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지분형 모기지론은 초기 비용을 크게 줄여주는 방식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초기 자본 부담 완화: 내 자금 10%만 있으면 가능!
  • 가계부채 관리: 정부 지분은 대출이 아니라 투자 → 대출 총액 증가 없음
  • 주거 안정성 확보: 안정적으로 내 집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선택지

3. 한국형 지분형 모기지 구조 (예상안)

항목내용
주택 가격 10억 원
자기 자본 1억 원 (10%)
은행 대출 4억 원 (40%)
정부 지분 투자 5억 원 (50%)
정부 지분 사용료 연 2% 수준 예상 (※ 아직 확정 아님)
소유권 구조 구매자 + 정부 공동 소유
수익·손실 분배 방식 지분율에 따라 시세차익·손실 분배

상기 구조는 금융당국 발표 안을 참고한 예상 구조로, 실제 시행 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장단점 분석

구분장점단점
자금 부담 초기 자본 10%만 필요 정부 지분에 대한 사용료(연 2% 예상) 부담 발생
소유권 정부와 공동 소유 → 주거 안정성 확보 완전한 소유권이 아님 → 매각 시 제약 가능성
수익 분배 집값 상승 시 정부와 리스크 분산 시세차익을 정부와 공유해야 함
손실 부담 집값 하락 시 정부가 손실을 우선 부담 정부 손실 증가 시 제도 지속 여부 불투명 가능

5. 시뮬레이션 예시

  • 상황: 10억 원짜리 집, 자기 자본 1억, 은행 대출 4억, 정부 지분 5억
경우집값 유지 (10억 원)집값 상승 (12억 원)집값 하락 (8억 원)
내 지분 (10%) 1억 원 1.2억 원 0.8억 원
정부 지분 (50%) 5억 원 6억 원 4억 원
은행 대출 4억 원 4억 원 4억 원
손익 분배 없음 시세차익 2억 → 지분율에 따라 분배 손실 2억 → 정부가 우선 부담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정부 지분 사용료는 확정됐나요?
A1.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금융당국은 연 2% 수준의 사용료를 검토 중입니다. (newspim)

Q2. 언제부터 시행되나요?
A2. 2025년 중 시범사업 형태로 시행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일정은 추후 발표됩니다. (경기신문)

Q3. 모든 무주택자가 이용 가능한가요?
A3. 청년,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를 우선 대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향후 대상 확대 여부는 논의 중입니다. (아시아경제)


7. 마치며

지분형 모기지론내 집 마련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정부의 새로운 시도입니다.
하지만 아직 제도 도입이 확정된 상태는 아니며, 세부 구조와 조건은 2025년 발표 예정인 로드맵을 통해 구체화될 예정이에요.

청년·신혼부부 등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이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공동 소유, 사용료, 수익 분배 등 구조적 특성을 잘 이해하고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 서울시 수익공유형 모기지 제도 보기
🔗 지분형 모기지 최신 뉴스 - 동아일보
🔗 지분형 모기지 Q&A - 매일경제


✨ 유익한 정보였다면 구독과 공감으로 응원해주세요 :)

반응형